중앙도서관에서는 전자책 제작업체인 (주)북큐브로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중단편문학 오디오북 100권을 기증받아 도서관 홈페이지와 모바일 페이지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I. PC에서 이용

1. 중앙도서관 홈페이지(http://lib.dongguk.edu) - 자료검색 - E-book 클릭

2. 국내 전자책 클릭 후 로그인

3. 분야별 eBook - 오디오북 선택

4. 대출하기 클릭

5. 내서재에서 대출중인 책을 확인하고 책읽기 클릭

6. 오디오북 플레이어 설치(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이과정 생략)

7. 오디오북 플레이어 실행 후 자동 플레이 됨

 

II. 모바일에서 이용

1. 모바일 홈페이지(http://mlib.dongguk.edu) 접속 - 전자책 선택 - 로그인

2. ①오디오북을 선택한 후 ②대출하기 클릭

3. ①대출 후 ②내서재로 이동

3. 책읽기(APP으로 이동)
 가. 앱이 설치 되어 있는 경우 --> 바로 책읽기로 이동

 나. 앱이 설치 되어 있지 않는 경우 -->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앱 다운로드

4. 오디오북 다운로드 후 재생 

 

※ 오디오북 목록

 오디오북 목록.xls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과장 이광휘, Tel.2260-3448,

E-Mail : o
tan49@dongguk.edu

 

 



  중앙도서관에서는 지난 호에 엔드노트의 사용법 1부를 포스팅하였습니다.
1부에서는  EndNote의 사용목적, EndNote 용어 및 설치 방법, EndNote의 활용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2부에서는 MS-Word와 연동되는 CWYW(Cite While You Write) 기능을 사용하여 실제 논문 작성시에 Reference와 표/그림 등을 삽입하거나 투고하고자 하는 저널의 규정에 맞게 Reference 템플릿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 MS Word에 Endnote 7 도구바 생성

Microsoft Word에서 Cite While You Write(CWYW) 기능을 통해 간편하고 빠르게 각주 및 그림, 표 목차를 생성하고 논문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작성된 템플릿을 이용해 세계 주요 저널의 논문 형식에 맞춰 논문을 작성할 수 있으며, 5000여개의 서지 형식을 이용해 보다 정확한 참고 문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EndNote를 PC에 설치하면 MS Word에 EndNote의 CWYW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도구바 및 메뉴가 생성된다

※ Endnote와 MS Word를 설치하였는대도 도구바 생성이 되지 않는 경우 아래의 화일 참조

 EndNote toolbar in Word 2007. 2010. 2013 추가하는 법.pdf

2. Cite While You Write(CWYW)를 이용한 논문 작성

가. Reference인용 삽입

①먼저 인용할 본문에 커서를 둔다. ②Insert Citation에서 Find Citation을 클릭하고 ③검색어를 입력한 후 ④Insert를 클릭하면 ⑤해당 Reference가 본문에 들어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Reference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아래의 에러메시지가 뜨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 에러메시지는 MS Word내 CWYW Add-in (EndNote툴)을 사용하려할 때 EndNote Program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거나 라이브러리를 찾지 못할 때 나타난다. Find Citation을 실행하면 EndNote Program이 자동 실행되며 가장 최근에 사용된 Library의 열기를 시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EndNote Program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을 때 아래의 에러가 발생한다.

 

해결방법은 EndNote Program이 실행되었다면 EndNote Program으로 이동해서 정상적으로 Library가 열렸는지 확인하고 사용하려는 Libray를 EndNote Program에서 연 후 MS Word에서 Find Citation을 시도하면 된다.

나. EndNote에서 워드 본문에 Reference를 입력하는 방법

① LIbrary에서 삽입할 Reference를 복사한 후 Ctrl + C, ② MS Word에서 인용할 부분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Ctrl + V로 붙여 넣는다. 자동으로 변환되지 않을 경우 Update Citation을 클릭한다. 

다. 워드에 표/그림/차트 등 삽입하기

① Insert Citation - Find Figure를 선택하면 ② 검색창에 삽입하고자 하는 그림이 있는 Reference 의

키워드를 넣고 ③ Find를 클릭하면 ④검색창 하단에 Reference가 검색되고 ⑤ Insert를 클릭하면 워드파일 본문안에 ⑥ 그림이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라. Reference 수정/삭제

① MS Word의 Edit & Manage Citation(s) 클릭 ② Edit Reference를 클릭 하고 ③ 해당 필드를 수정하면 된다.

④ Library에 있는 Reference를 직접 수정하기 위해서는 Edit Library Reference를 사용하고, 삭제하기 위해서는 ⑤ Remove Citation을 사용하면 된다.

마. Output style 선택 및 수정

 EndNote이용에 있어서 굳이 등급을 나누자면 이 기능은 고급기능에 해당한다. 논문을 어렵게 작성했지만 인용이나 참고문헌 목록(bibliography)의 양식이 저널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투고형식을 맞추는데 상당한 양의 수작업을 해야 하는 것은 연구자에게 큰 부담일 수 밖에 없다. 투고형식은 주로 저자 명의 알파벳 순(alphabetical order of author name)을 따르는 Harvard style과 인용 순서(order of appearance)를 따르는 Vancouver style로 나눌 수 있지만, 저자명의 표시 형식이나, 잡지 명, 권(volume), 호(issue), 쪽 수(page number) 등 다른 filed의 표기 형식들이 학회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이 작업을 하는 것 또한 힘든 일이 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EndNote에서 제공하는 Output style을 미리 지정하면 논문 작성시 이러한 기계적 작업을 일괄적으로 자동적으로 해결해 주어 연구자로 하여금 논문 내용 작정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① MS Word의 Style에서 Select Another Style을 선택하면 ② EndNote가 가지고 있는 5,000 여개 전체 리스트가 나오며 여기에서 투고하고자 하는 저널 스타일을 찾으면 된다.

 

바. 논문저장

EndNote로 논문을 완성하고 출판사나 학회에 투고할 때는 반드시 MS Word의 필드 코드값을 삭제한 후, 일반문서(plain text)형태로 만들어 제출하는데, 필드를 제거하기 위해 “Change to Plain Text”한 후에 원고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필드 코드를 삭제하기 전에는 반드시 필드 코드를 가지고 있는 원본을 저장해야 추후에 다시 활용할 수 있다.



3. MS Word에서 작성한 논문을 아래아 한글로 옮기기

 EndNote는 MS Word와 연동되어 사용되지만 아래아 한글과는 호환되지 않는다. 논문작성이 이공계나 외국인 연구자들은 MS Word를 많이 사용하지만 인문사회계 연구자들은 아래아 한글로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가 많아 Endnote 사용시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Endnote와 MS Word로 논문을 작성한 후 아래아 한글에 붙이기를 하면 MS Word에 Endnote에서 사용하는 속성들이 내장되어 있어 문서 스타일이 제대로 복사 되지 않는다. 이 때는 MS Word에서 ①다른이름으로 저장할 때 서식있는 텍스트(RTF - Rich Text Format)으로 저장한 후 ②아래아 한글에서 서식있는 문서(*rft)로 저장된 문서를 불러오면 MS Word에서 작성됐던 스타일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Endnote 속서 값이 제거된 형태의 한글문서로 저장할 수 있다.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과장 이광휘, Tel.2260-3448,
E-Mail : o
tan49@dongguk.edu

 

중앙도서관에서는

독서문화 프로그램 '북삼매'의 휴먼북 라이브러리

 '휴먼북' 지원자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휴먼북 신청 기간 : 2015년 10월 13일(화)까지
□  휴먼북 활동 기간 : 2015년 10월말 – 12월초 중 약 1시간 (시험기간 제외)
□  휴먼북 신청 방법 : 휴먼북 지원서 제출
- 온라인 제출 : marsha00@dongguk.edu / 웹메일 or 그룹웨어
- 오프라인 제출 : 중앙도서관 1층 불교학자료실
□  담당자 : 학술정보서비스팀 최경진 과장 / Tel. 2260-3459

 

■ 휴먼북? 휴먼북 라이브러리

휴먼북은 말 그래도 사람책입니다! 사람이 책이 되는 것입니다.
휴먼북이 모이면 휴먼북 라이브러리가 됩니다.

휴먼북은 누가 참여할 수 있나요?

삶의 지식과 경험, 지혜, 각종 노하우를 전해줄 교수 및 직원, 재학생, 동문, 지역 인사 등
우리 학생들이 만나고 싶은 누구든지 가능합니다. (이번 가을 휴먼북 라이브러리는 약 40명 진행 예정입니다)

휴먼북이 되면 어떤 활동을 하나요?

휴먼북 라이브러리는 10월말부터 12월초 중 1시간경 소중한 시간을 허락해주시면, 
휴먼북을 이용(?)하고 싶어하는 학생들과 연결해드립니다.
10명 이내의 학생과 도서관 IC Zone 세미나실에서 만나게 되는 따뜻한 자리입니다.

휴먼북에 지원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재능기부 형태로 운영되며, 본교 교원의 경우 교원업적평가 위원회 등록 및 봉사영역 "교내봉사" 5점 부여됩니다.

휴먼북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제출 부탁드립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편하게 연락주시고, 주변 적임자 추천도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한 시간이 누군가에게 평생을 좌우할 소중한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중앙도서관은 사람이 책 한 권이다! 휴먼북 라이브러리의 휴먼북 지원자를 기다립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담당 : 중앙도서관 불교학자료실 과장 최경진, Tel.2260-3459, E-Mail : marsha00@dongguk.edu

 

"A+ 리포트를 작성하고 싶은데,

좀 더 많은 양의 자료를 찾고 싶은데,

도서관 서가를 살펴봐도 내가 찾는 자료가 안보인다.

그럴 때에는 소장자료가 아닌

전자자료 검색을 통해

학술DB를 활용해보자.

학술DB 활용, 어렵지 않아요!"

 

 

 

   중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들의 원활한 도서관 이용을 위하여 정보검색 및 학술DB교육을 실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0월의 경우, 전자저널 및 WebDB 업체들의 자체 행사가 많아, 교육 담당자 섭외에 제한이 많아 변동사항이 많은 편입니다. 따라서 세부 교육 일정은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자교육 게시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일시 

- 2015-10-05 (월) 17:00-18:00, 불교학정보 검색 교육 (3차)

- 2015-10-13 (화) 17:00-18:00, 불교학정보 검색 교육 (4차)

- 2015-10-19 (월) 17:00-18:00, 불교학정보 검색 교육 (5차)

- 2015-10-27 (화) 17:00-18:00, 불교학정보 검색 교육 (6차)

- 2015-10-16 (금) 16:00-18:00,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통계 교육

- 2015-10-22 (목) 16:00-18:00, Science Direct, SCOPUS 검색 교육

※ 상세 교육 내용은 첨부파일 및 이용자교육 게시판 내용 참조

 

   2. 신청방법 : 도서관 홈페이지(로그인) - 연구학습지원 - 이용자 교육 - 참여신청

 

   3. 유의사항

     - 교육자료 준비 문제로 사전 신청 권장 (좌석 부족 시, 신청자 우선 참여)

     - 부득이한 사정으로 불참 시, 이용교육 게시판에서 취소처리 

 

   도서관에서 구독중인 다양한 전자 정보 자료는 그 구독금액만 해도 십억 대가 넘어가는 고가의 자료들입니다. 여타의 자료도 마찬가지로 상당히 높은 구독금액을 지불중입니다. 그만큼 대학에서의 학술연구 활동에 유용한 도구로서의 높은 활용도를 갖고 있다고 보셔도 되고, 근래와 같이 디지털 자료의 신뢰성이 높은 때에는 이들 도구의 적절한 활용법 습득이 연구활동자체를 배가시킬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된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과장 이창용, Tel. 2260-8624, E-Mail : library@dongguk.edu

 

 

   지난 하계방학 기간 중 학부생, 대학원생 총 18,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습니다. 몇 년전부터 진행되고 있는 여러가지 환경개선 공사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향후 도서관에서 신경써 줬으면 하는 바람들을 모으기 위한 설문이었습니다.

 

 

   실제 설문 참여에는 388명의 이용자분들이 협조를 해주셨고, 참여율은 2.1% 입니다. 너무 응답률이 떨어지는게 아니냐고 의아해하실 분들도 계실텐데요. 2013년 IC Zone 관련 만족도 설문 시 응답 주셨던 분들보다는 응답률이 높은 편이었고, 의외로 주관식 문항이었던 향후 개선점에 대한 구체적이고 꼼꼼한 답변이 많아서 이용자 의견을 참고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용자 만족도 결과와 여러가지 의견들을 간략하게 소개해 드립니다.

 

로비 층 환경 개선(대출반납실 및 인포메이션 분리, 전시실&북카페 조성) 만족도

 

 

  

IC Zone 조성 (스터디룸 및 세미나룸 등의 협업학습시설 조성) 만족도

 

 

 자료 재배치 및 휴게 공간 개선 (통합학술정보지원센터, 휴게집기, LED 교체 등) 만족도

 

 

도서관 이용 시 가장 만족스러운 곳

 

 

 향후, 우선적으로 보완 내지 확충되어야할 대상

 

 

중앙도서관 전체 이용 만족도

 

 

 

설문결과와 관련해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로비 층 환경 개선 만족도(매우만족, 만족, 보통 포함) 93%, IC Zone 만족도 92%, 자료 재배치 및 휴게 공간 개선 만족도 86% 등 최근 진행된 환경 개선 공사에 대한 이용자 반응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음

도서관 이용 시 가장 만족스러운 곳의 경우 IC Zone 및 전시실&북카페, 인포메이션 센터 등 비중이 64%에 달하고 있으나, 각 층 자료실에 대한 선호도 또한 30%에 달해, 자료 제공 기관으로서 도서관이 갖는 고전적인 가치도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향후 보완되어야 할 공간으로는 자료 20%, 전산환경 25%, 휴게환경 22%, 열람 공간 20%로 비교적 균등한 비중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노후한 PC 장비에 대한 개선 요구가 높아 검색코너 및 멀티미디어실의 장비 교체가 시급한 문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여전히 협업학습 공간에 대한 개선 요구도 13%에 달해, 기존 IC Zone내 협업학습시설에 대한 개선 및 보완 계획 수립도 요구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앙도서관 이용 전반적인 만족도는 매우 만족 17%, 만족 57%, 보통 19%로, 우호적인 응답이 93%에 달하고 있습니다.

학부생의 경우 환경 개선에 대한 불만 비율이 로비 층 환경 개선 5%, IC Zone 6%, 자료 재배치 및 휴게 공간 개선 12% 등 평균 10% 안쪽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학원생의 경우 로비 층 환경 개선 11%, IC Zone 12%, 자료 재배치 및 휴게 공간 개선 16% 등 평균 10%를 상회하는 비중을 보여, 상호 다른 도서관 이용 행태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  학부생의 경우, 우선 보완 대상으로 전산환경(25%)과 휴게공간(27%), 열람공간(22%)의 비중이 높은 반면, 대학원생의 경우, 자료(41%)와 전산환경(26%) 비중이 높아, 도서관내 체류 시간이 짧은 반면, 연구 및 학습 활동을 중요시하는 대학원생의 이용 특성 또한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제일 중요한 내용은 기타 의견으로 전달된 주관식 답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앙도서관에 대한 우호적인 평가 뿐만 아니라 신랄한 불만 등이 모두 담겨 있으니까요.

 

 

 

 

 

   정말 많고 길지만, 중복되는 항목들을 제외하고 항목별로 묶어서 위에 보이는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해 놓은 상태입니다. 대학원 열람실이 없어서 문제라는 지적처럼(대학원 열람실은 별관 2개 층 공간에 있으며, 도서관이 아닌 대학원 총학생회에서 자체 관리 중)처럼 잘 몰라서 전달된 의견들도 물론 있긴 합니다만, 소중히 남겨주신 아래 의견들은 향후 도서관 운영 방향에 소중한 밑거름이 될 예정입니다.

 

   도서관의 3대 구성요소를 학문적으로는 장서, 시설, 사서 로 구분하곤 합니다. 하지만, 도서관이 서비스 기관임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에야 이용자야말로 장서, 시설, 사서라는 요소의 기반이 될 정도로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 없어 보입니다. 도서관은 도서관 나름대로의 가치를 갖기도 하지만, 이용자의 요구와 더불어 운영되어야하는 공간입니다. 여러분들이 주신 다양한 의견들은 지금 당장 도입하거나 적용하겠다라고 할 수 없을 지 몰라도, 어떤 것을 고민하거나 변경하고 개선하는 과정에 늘 참고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도서관에 대해 많은 칭찬과 질책,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과장 이창용, Tel. 2260-8624, E-Mail : library@dongguk.edu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클릭 하면 친구추가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중앙도서관의 경우, twitter, facebook 등의 다양한 SNS를 이용자와의 소통 작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오고 있습니다. 최초 이용자들의 급증하는 참여와 단순한 호기심에 기대어 시작했던 SNS 관련 활동은 '도석완'이라는 중앙도서관의 캐릭터에 대한 높은 활용도 속에서, 업무의 연장선이라는 인식을 이용자뿐만 아니라 교내 여러 부서에 확실히 심어주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앙도서관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소통 채널 확보 작업의 연장선에서 일찌감치 카카오톡 서비스를 도입한 상태였습니다. '도석완' 명의의 카카오톡 계정을 개설해, 이용자로부터의 실시간 민원 접수에 주 활용하겠다는 취지가 있었으나, 일반 이용자와 마찬가지로 채팅 기반의 카카오톡 서비스는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습니다.

 

   한계점을 몇 가지 살펴보자면, 관리자가 별도의 휴대폰 번호를 개설해야해 이에 대한 유지비용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해당 관리자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개설하였기에 업무 분장 상의 변경이 있을 경우, 해당 카카오톡 계정에 대한 권한 위임에 많은 불편이 있는 상태였습니다. 다음으로, 분명 업무활용을 위한 도구임에도 업무 내용 즉 실시간 민원 처리 등에 대한 객관적인 통계 기능이 전무했습니다. 또, 별도의 제어기능이 없기 때문에 관리자 개인은 이미 공개된 업무 계정을 통해 24시간 민원접수에 노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아무리 업무시간에 대한 안내를 진행하더라도, 한 밤 중에 들어오는 이용자 개개인의 메시지에 대한 통제는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결국 대부분의 문제는 카카오톡이 개인과 개인의 메시지 전달을 위해 주 쓰임새를 갖고 있다는 데 기인한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카카오톡을 통한 민원 서비스를 오픈해 놓고도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없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에 부딪친 상태였습니다. 2014년 카카오톡 측에서는은 개인이 아닌 단체, 업체 등에서 활용가능한 Yellow ID라는 신규 서비스를 오픈하였고, 중앙도서관은 '도석완'이란 기존 캐릭터 명칭을 활용해 바로 관련 서비스를 신청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의 내용은 앞 전에도 간략하게 안내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어떻게 친구 신청하고 어떻게 말 걸어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꽤 많으시네요...!

 

 

   첫째,  뭔가 궁금한게 있거나, 불편한게 있을 땐, 중앙도서관 홈페이지로 이동하셔서 바로 위에 보이는 카카오톡 아이콘을 클릭해 보세요! 

 

 

  ,  친구추가하면! 끝입니다. 그럼 카카오톡 친구 목록에 Yellow ID 표식과 함께 도석완이 등록! (등록이 완료되면 친구추가 축하 메시지를 자동으로 받으세요)

 

  ,  그 다음부터는 친구와 대화하듯 말 거시면 됩니다.

 

유의할 점은...

대화 가능한 시간은 평일 9시부터 17시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외 시간에 대화를 걸면 자동응답만 받게 됩니다.

아직까진, 공휴일 지정 기능이 없기 때문에, 평일과 공휴일이 겹치면 운영시간이 아니라는 자동응답이 가진 않지만, 실제 대화는 불가능하세요.

담당자가 교육 중, 출장 중, 회의 중 등등일 경우 실시간 응답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좀 급하게 처리해야할 일은 도서관으로 전화하는게 빠를 때도 물론 있습니다.

Yellow ID 운영규정 상, 3일이 지난 메시지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다소 늦더라도 모든 메시지에 답변을 드리곤 있는데, 공휴일과 주말이 겹치거나 해서 그 다음 평일이 3일이 지난 시점이라면 내용 확인이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Yellow ID의 특성 상, 홍보가 필요한 상업 기관처럼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남발하거나 하진 않습니다. 카카오톡은 정말 많은 분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메시지인만큼 일단 친구추가! 해 놓으시면, 요긴하게 호출(?)할 일이 있이 분명 있으실 거에요.

 

 

   많은 친구 추가! 많은 의견 전달! 부탁드립니다!!!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과장 이창용, Tel. 2260-8624, E-Mail : library@dongguk.edu

 

 

 

   시험기간 중 중앙도서관의 이용시간이 변경됩니다. 이외에도 시험기간 중에는 졸업생의 열람실 이용제한, 좌석배정기 운영 방식 변경 등 다양한 부분에서의 변경이 적용됩니다. 시험기간 중 도서관 이용에 다음의 상세 변경사항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건 물

구 분

개관시간 (토,일요일 포함)

 중앙도서관

 자료실 

 09:00 ~ 22:00 

 4층 제1열람실

 24시간

 4층 제2열람실

 법학도서관 (만해관)

 자료실 

 09:00 ~ 22:00

 열람실

 24시간

이용기간 : 2015. 10. 12 ~ 2015. 10. 24

 

, 중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개관시간은 학기 중과 동일

 

졸업생(학적이 졸업인 모든 이용자)의 경우41, 2열람실, 3IC Zone, 만해관 1층 열람실의 출입 및 좌석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재학생들의 원활한 시험 준비를 위해 협조 부탁드립니다. (자료실 출입 가능)

 

시험기간 중 열람실 좌석배정시간 조정

 

대상 : 41, 2열람실, 3IC Zone, 만해관 1층 열람실

 조정내역 : 기존 15시간 / 3회 연장에서 13시간, 5회 연장으로 변경 (24시간 열람실의 경우 24시 이후 자율배석)

 

시험기간 중 3IC Zone 컨퍼런스룸 이용 : 시험기간 중 컨퍼런스룸(예약시간 제외)을 열람공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니,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활용 바랍니다.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팀원 신선영, Tel.2260-3458

 

 

 

 

9월 6일 ~ 10월 5일 한달간 멀티미디어실 DVD 이용순위를 소개해 드립니다.

앞으로도 멀티미디어실에서 좋은 영화 많이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1

(-)

 

인셉션

 

드림머신이라는 기계로 타인의 꿈과 접속해 생각을 빼낼 수 있는 미래사회. ‘돔 코브’(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생각을 지키는 특수보안요원이면서 또한 최고의 실력으로 생각을 훔치는 도둑이다. 우연한 사고로 국제적인 수배자가 된 그는 기업간의 전쟁 덕에 모든 것을 되찾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하지만 임무는 머릿속의 정보를 훔쳐내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머릿속에 정보를 입력시켜야 하는 것! 그는 ‘인셉션’이라 불리는 이 작전을 성공시키기 위해 최강의 팀을 조직한다. 불가능에 가까운 게임, 하지만 반드시 이겨야만 한다!

 

장르 : 액션, 모험, SF, 스릴러

개봉 : 2010.07.21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출연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조셉고든레빗

 

리뷰보기

2

(new)

인터스텔라

 

“우린 답을 찾을 거야, 늘 그랬듯이”
세계 각국의 정부와 경제가 완전히 붕괴된 미래가 다가온다. 지난 20세기에 범한 잘못이 전 세계적인 식량 부족을 불러왔고, NASA도 해체되었다. 이때 시공간에 불가사의한 틈이 열리고, 남은 자들에게는 이 곳을 탐험해 인류를 구해야 하는 임무가 지워진다. 사랑하는 가족들을 뒤로 한 채 인류라는 더 큰 가족을 위해, 그들은 이제 희망을 찾아 우주로 간다. 그리고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장르 : SF

개봉 : 2014.11.06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출연 : 매튜 맥커너히, 앤 헤서웨이

 

리뷰보기

3

(56↑)

레옹

 

한 손엔 우유 2팩이 든 가방, 다른 한 손엔 화분을 들고 뿌리 없이 떠도는 킬러 레옹은 어느 날 옆 집 소녀 마틸다의 일가족이 몰살 당하는 것을 목격한다. 그 사이 심부름을 갔다 돌아 온 마틸다는 가족들이 처참히 몰살 당하자 레옹에게 도움을 청한다. 가족의 원수를 갚기 위해 킬러가 되기로 결심한 12세 소녀 마틸다는 레옹에게 글을 알려주는 대신 복수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드디어 그녀는 가족을 죽인 사람이 부패 마약 경찰 스탠스임을 알게 되고, 그의 숙소로 향하게 되는데…

 

장르 : 범죄, 액션, 드라마

개봉 : 1995.02.18

감독 : 뤽 베송

출연 : 장 르노, 나탈리 포트만. 게리올드만

 

리뷰보기

4

(251↑)

슈퍼배드

 

각 나라를 대표하는 명소들을 한 번에 훔쳐버린 기상천외한 주인공 ‘그루’. 그는 세계 최고의 악당이 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이 절대 훔칠 수 없는 것을 하나 훔치기로 마음 먹는다. 그것은 바로 ‘달’!!!‘달’을 훔치기 위한 최신식 장비를 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고아원의 세 소녀들을 맡게 된 ‘그루’는 세 소녀들과 함께 살게 되면서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악당이 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소녀들을 키우는 일임을 알게 된다.
 소녀들에 의해 점차 사랑을 배우고 변화되어 가는 ‘그루’. 과연 그는 달을 훔칠 수 있을 것인가? 소녀들과

그루는 어떻게 될 것인가

 

장르 : 애니메이션, 가족

개봉 : 2010.09.16

감독 : 피에르 꼬팽, 크리스 리노드

출연 : 스티브 카렐(그루 목소리),

미란다 코스그르브(마고 목소리)

 

리뷰보기

5

(88)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자신의 꿈은 접어둔 채 16년째 ‘라이프’ 잡지사에서 포토 에디터로 일하고 있는 월터 미티.  해본 것도, 가본 곳도, 특별한 일도 없는 월터의 유일한 취미는 바로 상상! 상상 속에서만큼은 ‘본 시리즈’보다 용감한 히어로, ‘벤자민 버튼’보다 로맨틱한 사랑의 주인공이 된다. 어느 날, ‘라이프’지의 폐간을 앞두고 전설의 사진작가가 보내 온 표지 사진이 사라지는 일이 벌어진다.
 당장 사진을 찾아오지 못할 경우 직장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하게 된 월터는 사라진 사진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연락조자 닿지 않는 사진작가를 찾아 떠나는데…  지구 반대편 여행하기, 바다 한 가운데 헬기에서 뛰어내리기, 폭발직전 화산으로 돌진하기 등 한 번도 뉴욕을 벗어나 본 적 없는 월터는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상상과는 비교도 안 되는 수 많은 어드벤처를 겪으면서 생애 최고의 순간을 맞이하게 되는데… 당신이 망설이고 있는 그 순간,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장르 : 모험, 드라마, 판타지

개봉 : 2013.12.31

감독 : 벤 스틸러

출연 : 벤 스틸러, 크리스틴 위그, 숀 펜

 

리뷰보기

6

(114↑)

헝거게임 : 판엔의 불꽃

 

세상을 변화시킬 거대한 혁명의 불꽃이 타오른다! 12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독재국가 ‘판엠’이 체재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생존 전쟁 ‘헝거게임’. 일년에 한번 각 구역에서 추첨을 통해 두 명을 선발, 총 24명이 생존을 겨루게 되는 것. ‘헝거게임’의 추첨식에서 ‘캣니스’는 어린 여동생의 이름이 호명되자 동생을 대신해 참가를 자청하며 주목을 받는다. 과거 자신을 위기에서 구해줬던 ‘피타’ 역시 선발되어 미묘한 감정에 휩싸인다. ‘캣니스’는 금지구역에서 함께 사냥을 했던 ‘게일’에게 가족을 부탁하며 생존을 겨루게 될 판엠의 수도 ‘캐피톨’로 향하는데…

 

장르 : 판타지, 액션, 드라마

개봉 : 2012.04.05

감독 : 게리로스

출연 : 제니퍼 로렌스, 조쉬 허처슨

 

리뷰보기

7

(3)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명문대학을 졸업한 소도시 출신의 앤드리아 삭스는 저널리스트 꿈을 안고 뉴욕에 상경한다. 나름 대학에서 편집장도 하고 상도 받았던 그녀는 자신감에 차 뉴욕의 여러 언론사에 이력서를 넣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결국 그의 이력서에 답한 곳은 오직 한 곳 런웨이 뿐이다. 런웨이는 세계 최고의 패션지로 누구나 입사하기를 열망하는 곳이지만 앤드리아에게는 탐탁치 않는 자리. 그도 그럴 것이 저널리스트를 꿈꾸는 그녀가 면접을 볼 자리는 편집장의 비서직이었던 것이다. 앤드리아는 패션의 ‘패’자도 모르고 런웨이가 어떤 잡지인지, 그곳의 편집장이 얼마나 패션계에서 유명한 사람인지 전혀 모르지만 뉴욕에서 꼭 성공하겠다는 열정 하나로 당당하게 면접을 보러 간다. 그런데…!!!

 

장르 : 코미디, 드라마

개봉 : 2006.10.25

감독 : 데이빗 프랭클

출연 : 메릴 스트립, 앤 해서웨이

 

리뷰보기

8

(79)

 

빌리 엘리어트

 

11살 소년 빌리는 영국 북부지방에 살고 있다. 광부인 형과 아버지는 파업 상태이고, 가족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빌리는 할아버지의 오래된 권투장갑을 끼고 체육관을 찾는다. 체육관에서는 권투 교실과 발레 교실이 함께 열리고 있다. 그러나 곧 빌리는 자신의 발이 손보다 훨씬 능란하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발레 선생님인 윌킨슨 부인의 독려에 힘입어 권투를 그만두고 발레 교실로 옮기게 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빌리의 아버지는 곧 그를 말리지만 빌리는 자신의 능력을 인정해 주고 런던의 로얄발레학교 입학 시험을 보라고 격려해 주는 윌킨슨 부인과 함께 열심히 오디션을 위해 준비한다. 그리고 빌리의 춤을 본 아버지도 발레만이 빌리가 탄광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탈출구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빌리를 런던으로 보내기 위해 그가 가지고 있는 모든 돈을 모으기 시작한다.

 

장르 : 드라마, 가족, 코미디

개봉 : 2001.02.17

감독 : 스티븐 달드리

출연 : 제이미 벨, 줄리 월터스

 

리뷰보기

9

(230)

노예 12년

 

1840년대 미국에서는 노예 수입이 금지되자 흑인 납치 사건이 만연하게 된다.  미국내 자유주(州)의 흑인을 납치해 노예주(州)로 팔아 넘기는 것. 음악가 ‘솔로몬 노섭’, 노예 ‘플랫’! 두 인생을 산 한 남자의 거짓말 같은 실화! 1841년 뉴욕. 아내 그리고 두 명의 아이와 함께 자유로운 삶을 누리던 음악가 솔로몬 노섭(치웨텔 에지오포)은 어느날 갑자기 납치되어 노예로 팔려간다. 그가 도착한 곳은 노예주 중에서도 악명 높은 루이지애나. 신분을 증명할 방법이 없는 그에게 노예 신분과 ‘플랫’이라는 새 이름이 주어지고, 12년의 시간 동안 두 명의 주인 윌리엄 포드(베네딕트 컴버배치), 에드윈 엡스(마이클 패스벤더)를 만나게 되는데… 단 한 순간도 희망을 놓지 않았던 12년 간의 기록이 펼쳐진다!

 

장르 : 드라마

개봉 : 2014.02.27

감독 : 스티브 맥퀸

출연 : 치웨텔 에지오포, 마이클 패스벤더

 

리뷰보기

10

(22)

 

위대한 개츠비

 

“오후는 어디론가 흘러가고 있는데, 허망한 꿈만이 홀로 남아 싸우고 있었다..” 1922년 뉴욕 외곽에서 살고 있는 닉은 호화로운 별장에 살고 있는 이웃 개츠비에게 관심을 갖게 된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후 옥스포드에서 공부한 적이 있다는 개츠비는 어딘가 비밀이 가득한 의문에 사나이. 이 베일에 싸인 백만장자는 토요일마다 떠들썩한 파티를 열어 많은 손님을 초대했다. 파티에 초대 받아 참석한 후 개츠비와 우정을 쌓게 된 닉은 자신의 사촌 데이지와 개츠비가 옛 연인 사이였던 것을 알게 된다. 데이지는 가난한데다 전쟁터에서도 돌아오지 않는 개츠비를 잊은 채 부유한 톰과 결혼한 상태이다. 하지만 그녀의 남편 톰은 정비공의 아내와 은밀한 사이였고, 때마침 개츠비와 재회하게 된 데이지는 잊혀졌던 사랑의 감정을 되살리는데…

 

장르 : 드라마, 멜로/로맨스

개봉 : 2013.05.16

감독 : 바즈 루어만

출연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캐리 멀리건

 

리뷰보기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팀원 장하나, Tel.2260-3449, E-Mail : noteven@dongguk.edu

 

도석완씨가 추천하는 금주의 테마도서  10월

 

 

 

 

 

 

3층 휴게공간이 회전서가로 재단장하였습니다.

새롭게 단장한 테마도서 코너에서 10월의 테마도서를 만나보세요.


10월은 "본교 재직 문인" 테마와 함께합니다.

 

 

 * 9.30~10.8 : 윤재웅, 이만희, 이장욱, 이종대, 장영우,최순열, 한만수, 황종연

 

 

문학과 과학

 

저자 : 황정연

출판사 : 소명출판

 

리뷰보기

들썩들썩

채소학교

 

저자 : 윤재웅

출판사 : 맹앤앵

 

리뷰보기

그것은 목탁

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저자 : 이만희

출판사 : 지식을 만드는 지식

 

리뷰보기

소설작법

 

저자 : 이장욱 외 저

출판사 : 문학과지성사

 

리뷰보기

 

 

중간고사 기간 중 테마도서는 전시하지 않습니다.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과장 최경진, Tel.2260-3441, E-Mail : marsha00@dongguk.edu

 

   중앙도서관에서는 EndNote 6 사용법에 대해 포스팅한 적이 있었는데(http://dgulibrary.tistory.com/160), 이 후 EndNote가 7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중앙도서관 홈페이지도 개편이 되었기 때문에 이에 맞춰 EndNote 사용법에 대해 1부와 2부로 나누어 다시 한번 안내합니다. 먼저, 1부에서는 EndNote의 사용목적, EndNote 용어 및 설치 방법, EndNote의 활용법에 대해 설명하고, 2부에서는 CWYW(Cite While You Write) 기능을 사용하여 실제 논문에 Reference와 표/그림 등을 삽입하거나 투고하고자 하는 저널의 규정에 맞게 Reference 템플릿을 작성하는 방법, 국내에서는 논문작성 프로그램을 아래아 한글 사용자가 많은 것을 감안하여 MS Word로 논문을 작성한 후 아래아 한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일 형식을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할 예정입니다.

I. EndNote?

EndNoteThomson Scientific에서 제공하고 있는 논문 작성용 서지 관리 도구로 논문 작성을 위해 수집한 참고문헌(Reference) 및 원문 파일 관리,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후 결과 반입, 참고문헌 정보와 이미지 정보의 관리 및 구성, 저널별로 요구되는 원고 형식을 미리 Word Templates로 제공으로 손쉬운 논문 작성이 가능하고, Cite While You Write(CWYW)의 기능을 사용하여 논문 작성 도중에도 참고문헌을 인용할 때마다 서지사항이 자동적으로 생성 되게하는 장점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MS Word와 호환되기 때문에 MS Word를 논문작성에 사용하는 외국 학생이나 자연계 학생들, 해외에 논문을 투고하는 연구자들에게는 매우 편리한 도구이지만 아래아 한글을 주로 사용하는 인문사회계 학생들에게는 100%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사용목적

참고문헌의 양이 많지 않을 때는 엑셀이나 기타 워드 프로세스만으로도 참고문헌 관리가 가능하겠지만, 참고문헌의 양이 방대하질수록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프로그램이 EndNote와 같은 서지관리 프로그램이다 

2. EndNote 사용 프로세스

- EndNote 사용 프로세스는 Reference 수집 및 관리, 논문 작성으로 구성된다.

II. EndNote 용어 및 설치

1. 용어정리

EndNot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ndNote에 최적화된 용어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는데,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

 가. Reference : 흔히 참고문헌 또는 참고정보라고 하는데 EndNote에서는 논문작성을 위해 수집한 책이나 자료에 대한 정보 즉 '서지정보‘를 말한다.

나. Library : 논문작성을 위해 수집된 Reference를 모아 놓은 파일로 *.enl형식으로 저장되는데 이것이 논문주제이자 논문 프로젝트의 기본단위가 된다. 가령, MOOC에 관련된 논문을 쓰기위해 Library명을 MOOC로 명명한다면  “MOOC.enl”이 하나의 Library가 되며 관련 Reference들이 데이터베이스의 형식으로 이 Library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이다.

 다. Citation : 우리말로 인용이라는 뜻으로 논문의 본문에 추가되는 참고 문헌의 지시표시를 말하며, 위 첨자, 꺽쇠 표, 괄호, 참고 문헌 번호, 저자 명 등이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된다.

라. Bibliography : EndNote에서 말하는 Bibliography는 참고문헌 목록으로 대개 논문의 가장 뒤에 추가되는 참고 문헌 목록을 말한다.
- Style : 인용 및 참고 문헌 목록의 형식을 말하며 EndNote설치 폴더 중 Style폴더에 *.ens형식으로 저장된다.  

2. EndNote 설치

 교내 접속 사용자는 IP Address로 인증을 하므로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여 설치를 하고, 교외 접속 사용자는 교외접속 프로그램을 통하여 홈페이지에 로그인 한 상태에서 설치를 진행해야 한다.

 가. 중앙도서관 홈페이지(http://lib.dongguk.edu) - 도서관서비스 - 자료실 - EndNote x7 다운로드 후 설치

나. 설치시 주의 사항

- 새버전을 설치할 경우 업데이트의 개념이 아닌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이전 버전 사용자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기능을 통해 먼저 구버전을 삭제한 후 새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 다운로드한 파일의 압축을 풀어 ENX7Inst.msi 를 실행한다.
(단, 실행 시 별도의 License(Product Key)를 요구하지 않기 위해 압축을 풀면 생성되는 License.dat 파일과 ENX6Inst.msi 파일들을 반드시 같은 폴더에 두어야 한다.)

III. EndNote의 활용

1. Library 생성

 Library는 EndNote Reference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작업단위 혹은 프로젝트 단위이며 Library를 생성하면 데이터 폴더와 Library이름.enl(EndNote Library)파일이 생성된다. 데이터 폴더는 PDF나 그림 파일이 저장되는 곳이며, Library 파일은 Reference가 저장되는 곳이다. Library의 Reference의 제목을 수정할 때는 언제나 데이터 폴더의 파일 이름도 같은 이름으로 수정해 주어야 하며, 작업 중인 파일을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폴더와 라이브러리 폴더가 항상 같은 폴더에 있어야 한다.
 Library를 생성하는 방법은 ①File-New를 선택하고 ②Library이름과 저장위치를 지정하면 ③Library의 생성과 함께 EndNote프로그램이 구동된다.

2. Reference 수집 및 저장

 EndNote에서 Reference를 수집 및 저장하는 방식은 제공되는 DB마다 다르며 전자저널/WebDB에서 직접 반입하는 방법, EndNote내에 탑재되어 있는 Online Search를 이용한 수집방법, 직접입력 방법이 있다.

 가. 전자저널/WebDB에서 직접 반입하는 방법
- 국외 DB -
인용학술데이터베이스인 SCOPUS에서의 사용 예를 들어보자.
1) MOOC와 도서관과의 관계에 관한 reference검색을 위해 검색창에 MOOC와 library 입력

2) ① 관심분야의 논문을 체크한 후 ② RIS Format을 클릭하면 여러 종류의 서지관리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데 그 중에 ③RIS Format(Endnote, Reference Manager) 선택 후 ④Export를 클릭하면 PC에 설치된 Endnote가 자동을 구동되면서 ⑤레퍼런스 모음 창에 선택한 논문에 관한 서지사항이 반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IS Format?
 RIS is a standardized tag format developed by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Incorporated (the format name refers to the company) to enable citation programs to exchange data.[1] It is supported by a number of reference managers. Many digital libraries, like IEEE Xplore, Scopus, the ACM Portal, Scopemed, ScienceDirect, and SpringerLink, can export citations in this format.

- 국내 DB -
국내에서 가장 많은 학술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는 KISS를 예로 들면
① 검색창에 MOOC입력 ② 관심분야의 논문을 체크한 후 ③ 서지반출에서 EndNote선택 파일 다운로드 창이 열리면 ④열기를 클릭하면 ⑤ PC에 설치된 EndNote가 구동되면서 체크한 참고문헌이 반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ISS, NDSL, 구글스칼라, 네이버 학술정보검색 등 다양한 학술정보 플랫폼에서 EndNote를 사용할 경우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되며 검색한 서지정보를 EndNote로 반출하기 위한 메뉴명이 플랫폼 마다 다른데, 주로 외국 학술정보사이트는 ‘Export, download, Save to EndNote’ 등으로, 국내 학술정보 사이트는 ‘내보내기, 서지정보 내려받기, 서지반출, EndNote로 내려받기’ 등으로 표시된다.

나. 레퍼런스 직접 입력
WebDB에서 레퍼런스를 직접 반입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직접 레퍼런스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이다.
1) EndNote를 구동시킨 후 ① Reference의 ② New Reference선택 - ③ 각 필드에 논문의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 하면 ④ 레러런스 모음창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Online Search

EndNote는 프로그램자체에서 Online Search기능을 제공하는데, 세계적으로 인정하는 DB서비스 기관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Online Search그룹에서 검색할 데이터베이스 중 ①LISTA(Ebsco)를 선택하고 ②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search를 클릭하면 ③총123개의 Reference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물론 검색 결과값을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④ OK를 클릭하면 LISTA(Ebsco)데이터 베이스중 elearning을 키워드로 하는 Reference가 EndNote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많은 사이트이트의 Online Search를 원하면 EndNote 좌측 하단의 ⑤more를 클릭하거나 ⑥Tools메뉴에서 Online Search를 클릭 더 많은 DB를 이용할 수 있다.

 


 

4. Reference에 원문 PDF연결

가. Find FullText 기능

저장된 Reference에서 DOI, Pubmed, LinkOut, Web of Knoledge Fulltext Links 등을 이용해서 원문을 자동적으로 찾고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다.
① 원문을 첨부하고자 하는 Reference를 선택한 뒤 Reference 메뉴의 ②Find Fulltext를 선택 ③ 저작권과 관련된 안내창이 나오고, OK를 클릭하면 ④ 하나의 PDF 파일이 발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나. PDF파일 Import기능 이용

개별 PDF 파일 혹은 PDF파일이 있는 폴더 전체를 반입할 때 쓰는 기능으로 이 기능을 이용하면 PDF원문 첨부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Reference가 생성되는데, 주의할 점은 PDF 파일의 원래 제목이 수정되지 않았어야 하고, 파일명 등에 []등이 있거나 스캔해서 만든 PDF파일은 정상적으로 반입이 안될 수도 있다.


① File - Import - File 혹은 Folder를 선택하고 ② Import option에서 PDF선택하면

③ Import한 파일이 반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 수동으로 PDF첨부

이 기능은 Reference에 대한 PDF원문을 수동으로 첨부해야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①파일첨부가 필요한 Reference를 선택한다. ②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서 Attach File을 클릭한 후 ③첨부하고자 하는 파일의 위치를 찾아서 첨부한다. ④ 해당 Reference에 원문이 첨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이 기능을 통해서 PDF뿐만 아니라, 워드, 엑셀 등의 다양한 형식의 파일첨부가 가능하다.

5. Group 관리

이 기능은 인터넷 브라우저의 즐겨 찾기를 그룹핑하는 것과 유사한 기능으로 수집된 Reference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연구주제 혹은 논문발표 연도 순으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기능이다. 수집한 Reference는 여러 Group기능을 통해서 관리할 수 있고, 이렇게 만든 그룹들은 Group Set을 통하여 계층화된 Group관리가 가능하다.

가. Group Set 생성

Group 메뉴의 Greate Group Set를 선택하거나 EndNote 왼쪽 패널의 My Groups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서 Create Group Set를 선택한다.

 

 

나. Group 생성

① Group 메뉴에서 Create Group을 선택해서 생성하거나, ②Group Set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서 새로운 Group을 만든다.

※ Group 내에 있는 Reference를 삭제해도 All Reference에 있는 Reference는 삭제 되지 않지만 All Reference에서 Reference를 삭제하면 Group에 있던 Reference도 삭제된다.

다. Smart Group생성

Smart Group은 전체 Reference에서 찾고자 하는 조건을 지정하며 그 조건에 맞는 Reference들로 Group이 생성되고, 차후에 해당 조건에 맞는 레펀스가 계속 추가될 경우 자동으로 Group에 분류되는 기능이다.

이용방법은 ①Group메뉴에서 Greate Smart Group을 선택해서 생성하거나, ②Group Set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한 후 그룹이름을 지정하여 새로운 Smart Group을 만든다.

6. 중복Reference 삭제

방대한 양의 Reference를 수집하다 보면 과거에 수집된 Reference를 중복하여 수집할 수 있다. EndNote에서는 중복된 레코드를 자동으로 검색해 수정하고 삭제살 수 있다. Reference창에서 ①Ctrl+A를 눌러서 전체를 선택하고 ②References메뉴에서 Find Duplicates를 클릭하면

 

 ③ Duplicate Refereces 메뉴에 중복 Reference가 표시되고 ④ 중복 내용의 상세 내용이 비교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수집된 Reference 업데이트

기존에 수집된 Reference가 업데이트 되었는지를 온라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으로

① 업데이트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Reference를 선택한 후 ②Reference 메뉴에서 Find Reference Updates...를 선택하거나 ③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Find Reference Updates...를 선택하면 된다. 

④ 업데이트된 Reference의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IV. 마치며...

   지금까지 EndNote7버저전을 기준으로 EndNote활용의 기초과정에 해당하는 파일의 수집 및 관리, 그룹의 생성등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다음 호에는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실제 논문작성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담당 : 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과장 이광휘, Tel.2260-3448,
E-Mail : o
tan49@dongguk.edu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