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학도서관계에는 대학도서관 진흥을 위한 큰 변화가 있습니다. 2015년 3월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 및 9월 시행에 따라 우리 도서관도 본교의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서관 중장기 비전과 중점추진 과제를 포함한 대학도서관진흥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주요 통계를 개괄적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우리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06년 5월 명진학교 설립과 함께 설치되었고, 1953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중앙도서관, 법학도서관, 일산의 바이오약학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장서

 

 먼저 중앙도서관 소장 장서로 도서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도서자료는 단행본, 제본 연속간행물, 학위논문, 소장개념의 e-Book을 포함하며 1,308,442책, 재학생 1인당 73.9책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2015학년도의 경우, 소장가치가 떨어지는 장서를 제적하여 총장서수는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연도

종수

책수

재학생 1인당 도서수

국내서

국외서

국내서

국외서

2015

687,340

166,534

853,874

1,073,172

235,270

1,308,442

73.9

2014

731,514

162,538

894,052

1,134,557

232,198

1,366,755

78.8

2013

733,006

157,748

890,754

1,136,049

225,664

1,361,713

78

 

 

[표 1] 최근 3년간 도서자료 장서통계

 

 

 도서자료 외에도 비도서자료, 전자자료, 연속간행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도서자료는 2015학년도의 경우, 60,720종 75,530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연속간행물은 구입과 기증으로 구분하며, 연속간행물 구입의 경우 국내 283종, 국외 388종, 총 671종을 소장하고 있으며 기증 연속간행물도 1,000여종 입수됩니다. 또한 전자자료의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도서관은 정보이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자자료’의 구입이 늘어나고 있으며 4년제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구입비율이 도서자료에 비해 64.4%를 차지하며 우리 도서관도 점차 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연도

전자저널

웹 데이터 베이스

e-book

동영상강의자료

합계

패키지

종수

패키지

종수

패키지

종수

패키지

종수

패키지

종수

2015

33

63,893

51

0

0

31,088

0

603

84

95,584

2014

33

60,898

52

0

0

30,146

0

603

85

91,647

2013

33

77,507

50

0

0

27,226

0

603

83

105,336

 

[표 2] 최근 3년간 전자자료 통계

 

 

# 시설

 

 다음은 중앙도서관 시설을 살펴보겠습니다. 도서관 건물의 연면적은 법학도서관과 바이오약학도서관을 포함하여 약 22,206㎡로 재학생 1인당 약 1.25㎡의 공간입니다. 총 열람석은 자유열람석과 자료실 열람석수를 포함하여 2,914개로 열람석 1석당 약 6.1개로 파악됩니다. 최근 조성된 IC Zone은 스터디룸 4개, 세미나실 10개, 컨퍼런스룸 1개, 캐럴 5개로 되어있습니다.

 

 

구분

실명

층수

열람좌석()

중앙도서관

(열람실)

중앙도서관 열람실

4F

913

중앙도서관 열람실 소계

 

913

중앙도서관

(자료실)

IC Zone

3F

276

3층 단행본실

35

대출반납실

2F

IF Zone

151

불교학자료실

1F

239

지하1층 자료실

B1

396

지하2층 자료실

B2

201

중앙도서관 자료실 소계

 

1,298

법학도서관

단행본실

3F

44

참고자료실

2F

48

열람실

1F

223

법학도서관 소계

 

315

[일산]

바이오 약학도서관

약학관

자료실

2F 

 

34

이용자교육실

16

1열람실

48

정보검색실

32

바이오관

세스코도서관 (열람실)

 1F

258

소 계

 

388

합계

2,914

 

[표 3] 열람좌석수 현황

 

 

# 도서대출 및 출입

 

  최근 중앙도서관 페이퍼 기반의 대출책수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2013년 재학생 1인당 11.5책, 2014년 11.3책, 2015년 10.1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본교 뿐만 아니라 전체 대학생들에 해당되며 ‘2015년 대학도서관 통계분석 자료집’에 따르면 전체 대학 재학생 202만3000명 중 책을 한 번이라도 빌린 학생은 57.7%인 116만 6000명이었다. 42%는 작년에 한 번도 대학도서관에서 책을 빌리지 않은 셈입니다.

 

연도

대출책수

재학생 1인당 대출도서수

출입자수

학부생

대학원생

교원

직원

기타

2015

121,933

57,100

7,922

3,870

15,666

206,491

10.1

1,767,647

2014

138,693

58,074

6,931

3,775

20,738

228,211

11.3

1,315,890

2013

155,010

45,231

8,663

4,340

35,089

248,333

11.5

1,208,867

 

[표 4] 최근 3년간 도서대출책수

 

# 전자서비스

 

 이제 교수와 학생 등 이용자들은 대학도서관을 직접 방문하기 보다는 전자자료, 인터넷 포털 등을 이용하는 추세가 늘면서 대학도서관의 공간 활용과 역할도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아래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접속건수나 상용DB 검색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연도

홈페이지

접속건수

OPAC

검색건수

상용DB 검색건수

국내

국외

2015

3,300,320

29,843,049

890,172

1,062,903

1,953,075

2014

3,067,861

37,137,422

886,284

816,166

1,702,450

2013

1,801,468

29,261,206

697,905

581,527

1,279,432

 

[표 5] 최근 3년간 전자서비스 이용 현황 

 

 

 지금까지 주요통계를 통해 본교 도서관의 오늘을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 우리 도서관의 더 나은 내일을 기대합니다. 다른 대학도서관과 비교하여 더 좋은 도서관의 모습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최경진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Tel.2260-3450, E-Mail : marsha00@dongguk.edu

 

 

이번호부터는 분기별로 우리 학교 교수님들의 저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재직교수 저서는 동국대학교의 지적소산물이란 측면에서 그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번호는 작년 발간 기준으로 선정된 몇 책을 먼저 소개해드립니다. 관련 전공 학생들의 많은 관심바랍니다. 

◆ 고영섭 교수(불교학부)

 

 

<한국 불교사 탐구>

고영섭 지음 / 박문각

2015.2.28 출간

이 책은 이 땅에 전래된 불교가 어떻게 한국불교의 독특성 혹은 한국불교의 고유성으로 자리해 오고 있는지를 염두에 두면서 한국사와 한국불교사의 접점, 한국불교와 국가 사회, 한국불교와 역사 인물, 한국불교와 시대정신의 4부로 나누어 광대한 한국불교사를 치밀하게 담아내고 있다.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링크

 

 

<분황 원효 : 고영섭 교수의 원효 에세이>

고영섭 지음 / 박문사

2015.9.21 출간

7세기의 자유인 원효의 방대한 문자반야를 토대로 그의 사상과 생애를 저자의 시선으로 풀어낸 학술에세이 『분황 원효』. 법신사리 중 현존하는 것은 20여 부에 지나지 않지만 원효는 숱한 경론을 대중적인 언어로 풀어내었다.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링크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고영섭 지음 / 박문사

2015.9.21 출간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은 우리의 민족문화를 온전히 담고 있는 ‘한국고대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국유사》를 ‘인문학 가치’에 초점을 두고 연구한 학술서이다.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링크 

 

◆ 김갑순 교수(경영학부)

 

 

 

<분개법 원리로 배우는 법인세(2015)>

김갑순 지음 / 나눔A&T

2015.2.27 출간

이 책은 분개법 원리로 배우는 법인세을 다룬 개론서로 법인세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링크

 

 

<(입법 취지로 배우는)세무입문(2015)>

김갑순 지음 / 나눔A&T

2015.2.27 출간

이 책은 세무입문을 다룬 이론서로 세무입문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링크

 

 ◆ 이윤호 교수(경찰행정학과)

 

 

<폭력의 해부 : 어떤 사람은 범죄자로 태어난다>

에이드리언 레인 지음, 이윤호 옮김 / 흐름출판

2015.8.20 출간

어떤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를까? 범죄를 막으려면 어떤 방법과 노력이 필요할까? 미래에는 범죄를 미리 예측할 수 있을까? 과연 우리는 더 안전하고 살기 좋은 세상에서 살 수 있을까? 『폭력의 해부』는 이 간단하지만 답하기 어려운 질문에 대한 답을 담고 있다.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링크

 

 

<범죄심리학>

이윤호 지음 / 박영사

2015.8.25 출간

이 책은 범죄심리학을 다룬 이론서로 범죄심리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중앙도서관 소장정보 링크

                 

             한송이 계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Tel.2260-3447, E-Mail : syhan@dongguk.edu

 

 

 

  중앙도서관은 위즈덤하우스와 함께 4월 20일 수요일 오후 6시30분 문화관 4층 초허당세미실에서 ‘운명을 바꾸는 한번 하기의 힘, 나는 고작 한번 해봤을 뿐이다’(위즈덤하우스)의 저자 김민태를 강사로 초청, 4월 명사와의 지식강연을 개최합니다.

 

4월 20일, EBS 프로듀서 김민태 저자의 명사의 지식강연 개최

 

 명사의 지식강연은 중앙도서관이 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의 지식과 교양의 폭을 넓히고 독서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학기중 월 1회 이상 개최해오고 있습니다.

 

강연도서 '운명을 바꾸는 한번 하기의 힘, 나는 고작 한번 해봤을 뿐이다'

 

 저자 김민태님은 EBS 프로듀서로 2002년 EBS에 입사해 <EBS 스페셜>, <똘레랑스>, <다큐프라임> 등을 연출했으며 2007년 인터뷰 다큐 <시대의 초상>으로 한국방송PD연합회 ‘한국PD대상 실험정신상’을, 2008년 <아이의 사생활>로 ‘한국PD대상 TV 교양부문 작품상’,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창의발전 프로그램상’을, 2010년 <사비성, 사라진 미래도시>로 한국방송비평회 ‘클린콘텐츠 방송대상’을, 2013년 <퍼펙트 베이비>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올해의 생명과학보도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스티브 잡스의 '점의 연결' 메시지에 감화

 

 저자는 ‘현재의 순간들은 미래와 어떤 식으로든 연결된다’는 스티브 잡스의 ‘점의 연결’ 메시지에 감화되어 지금 할 수 있는 작은 일들에 주목했습니다. 걷고, 읽고, 만나고, 쓰는 것만으로도 수많은 기회가 열리고 내면의 자존감이 단단해지는 경험을 하면서, 그는 인생을 바꿔줄 ‘한번 하기’의 힘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또한 다수의 리서치와 성공한 인물들의 사례를 통해, 사소한 실천과 그로 인한 성공 경험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완벽한 계획보다는 가벼운 ‘한번 하기’가 오히려 미래를 극적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이 책에 담았고 본인도 진정한 ‘실천형 인간’으로 변모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당장 행동하라' 강력한 동기 부여 

 

 이 책에서 저자는 계획과 목표에 매몰되어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독자들에게 ‘지금 당장’ 행동하고 싶은 강력한 동기를 부여합니다. 또한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용기와, 현재의 점을 미래와 이어나갈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도 함께 알려주고 있습니다.

 

  매월 개최되는 ‘명사와의 지식강연’에 학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최일우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Tel.2260-3457, E-Mail : choiiw@dongguk.edu

 

 

 

 시험기간 중 중앙도서관의 이용시간이 변경됩니다. 이외에도 시험기간 중에는 졸업생의 열람실 이용제한, 좌석배정기 운영 방식 변경 등 다양한 부분에서의 변경이 적용됩니다. 시험기간 중 도서관 이용에 다음의 상세 변경사항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건 물

구 분

개관시간 (토,일요일 포함)

 중앙도서관

 자료실 

 09:00 ~ 22:00 

 4층 제1열람실

 24시간

 4층 제2열람실

 법학도서관 (만해관)

 자료실 

 09:00 ~ 22:00

 열람실

 24시간

 

이용기간 : 2016. 04. 18 ~ 2016. 04. 29

 

 

, 중앙도서관 IF Zone 개관시간은 학기 중과 동일

 

 

졸업생(학적이 졸업인 모든 이용자)의 경우41, 2열람실, 3IC Zone, 만해관 1층 열람실의 출입 및 좌석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재학생들의 원활한 시험 준비를 위해 협조 부탁드립니다. (자료실 출입 가능)

 

 

시험기간 중 열람실 좌석배정시간 조정

 

대상 : 41, 2열람실, 3IC Zone, 만해관 1층 열람실

 

 조정내역 : 기존 15시간 / 3회 연장에서 13시간, 5회 연장으로 변경 (24시간 열람실의 경우 24시 이후 자율배석)

 

시험기간 중 3IC Zone 컨퍼런스룸 이용 : 시험기간 중 컨퍼런스룸(예약시간 제외)을 열람공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니,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활용 바랍니다.

 

 

 

김웅갑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Tel.2260-8623, E-Mail : ugkim@dongguk.edu

 

 

  중앙도서관에서는 도서관 이용자들의 원활한 연구 및 학습 활동 지원을 위하여 도서관 정보 활용 교육을 실시하오니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교육내용


가. 논문 및 보고서 작성을 위한 정보활용 교육
나. 레퍼런스 관리를 위한 Endnote 사용법(초급)
다. 레퍼런스 관리를 위한 Endnote 사용법(중급)
라. 논문 및 보고서 작성자들을 위한 온라인 설문작성 도구 교육

  ※ 도서관 이용 및 정보활용 교육은 도서관 사정 및 신청자수에 따라 장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기 도서관정보활용 교육 외 수업 및 학습동아리 지원을 위한 맞춤형 정보활용 교육도 가능합니다.(통합학술정보지원 데스크에 문의)

 

2. 교육일정 및 장소

 

 

3.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 도서관 홈페이지 → 연구학습지원 → 이용자교육 클릭

 

4. 기타

자세한 교육 내용은 연구학습지원 내 이용자교육을 참고바랍니다.

 

이광휘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Tel.2260-3459, E-Mail : otan49@dongguk.edu

 

 '도서관의 봄, 책을 봄, 미래를 봄'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도서관주간 행사는 한국도서관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후원으로 매년 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운영됩니다. 한국도서관협회는 1964년부터 4월 12일부터 18일까지 동일한 일정으로 도서관주간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와 독서생활 진작을 위하여 매년 동일한 도서관주간 기간 동안 다양한 행사를 마련하여 전개함으로써 도서관의 가치와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도서관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2016년 제52회 도서관주간의 공식주제는 '도서관의 봄, 책을 봄, 미래를 봄(다누리도서관)이며, 공식표어는 펼치는 순간, 도서관의 힘은 시작됩니다(구립증산정보도서관), 지식을 나누고 문화를 창조하는 따뜻한 삶 터! 도서관!(장기섭)으로 정해졌습니다.

 

공식표어 "펼치는 순간, 도서관의 힘은 시작됩니다"

 

'도서관의 봄'에는 희망찬 도서관의 모습을, '책을 봄'은 책을 통해 세상과 대화하는 방법을 배우기를, '미래를 봄'은 독서를 통해 행복한 삶이 실현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공식포스터는 따뜻한 봄날, 서로 바라보는 사람들의 모습을 형상화해 책을 통한 밝은 미래를 나타내고자 했습니다. 공식 표어는 '펼치는 순간, 도서관의 힘은 시작됩니다' '지식을 나누고 문화를 창조하는 따뜻한 삶 터! 도서관!'이 선정되었습니다.

 

지식을 나누고 문화를 창조하는 따뜻한 삶 터! 도서관!  

 

 본교 중앙도서관은 4월 12일부터 시작되는 도서관주간과 4월 23일 세계 책의 날을 맞이하여 '도서관의 봄, 책을 봄, 미래를 봄'이라는 주제로 현수막을 게시하였고 북삼매 홈페이지에서 명사의 지식강연, 독서토론클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북삼매 홈페이지를 통하여 참가할 수 있습니다.

 

    중앙도서관 북삼매 홈페이지 http://booklib.dongguk.edu

 

 

 

 최일우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Tel.2260-3457, E-Mail : choiiw@dongguk.edu

 

 중앙도서관에서는 소장 장서의 가치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귀중한 자료 대상의 기증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지난 동계 방학 중에는 香港佛陀教育协会(홍콩불타교육협회), 淨空(정공)법사로부터의 「四庫全書(사고전서)」 기증이 있었습니다.

 

香港佛陀教育协会(홍콩불타교육협회), 淨空(정공)법사 기증

 「仿古版文渊阁四库全书(방구반문연각사고전서)」, 「四库荟要(사고회요)」, 「国学治要(국학치요)」, 「群书治要(군서치요)」등 총 4종의 도서 수증을 의뢰하였으며, 해당 자료 약 1,500책은 지난 2월 선편을 통해 중앙도서관 임시 서가에 무사히 도착한 상태입니다. 현재 정리 중인 상태로, 빠른 시일 내에 정리 작업을 완료하고 자료실 개가제 서가에 비치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기증은 ‘인문학 및 불교학 콘텐츠의 특성화와 전문’, ‘홍콩불타교육협회와의 협력을 통한 중화권 자료 교류 증진’을 위한 본격적인 출발점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중앙도서관에서는 앞으로도 귀중 자료 위주로의 기증 유도를 통해, 소장 장서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입니다.

 

 

 

이창용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Tel.2260-3448, E-Mail : inmysea@dongguk.edu

 

 

문고리(멘토 노헌균 영어영문학과 교수) 등 총 15개 클럽 100여명 선정

 

[사진설명] '소설로 읽는 현대중국' 클럽 오리엔테이션 모습 (멘토 중어중문학과 김양수 교수)

 

 중앙도서관이 ACE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멘토와의 독서토론클럽’이 1학기 멘토 및 학생 모집을 완료하고 4월부터 본격적인 독서토론을 실시합니다.

 

 [사진설명] Here & Now 클럽 오리엔테이션 모습 (멘토 약학과 이충호 교수)

 

  ‘멘토와의 독서토론클럽’은 동국인 책읽기 프로젝트로 교수님이 멘토가 되어 8명 이내의 학생과 함께 매월 독서토론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진설명] 문고리 클럽 오리엔테이션 모습 (멘토 노헌균 영어영문학과 교수)

 
   올해는 전년에 비해 많은 교수님들이 참여 신청을 하였으며 문고리(멘토 노헌균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 등 총 15개 클럽 100여명의 학생이 선정되었습니다. 선정한 학생들에게는 독서토론용 도서 총 3권과 기념품 그리고 커피 쿠폰을 지급합니다.

 

토론도서 총 3권, 기념품, 커피 쿠폰 지급, 연말 우수참여자 장학금 지급

 

 또한 중앙도서관이 개최하는 모든 독서 활동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연말 우수 참여자에게는 장학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선정 클럽 및 참여자는 중앙도서관 북삼매 홈페이지(http://booklib.dongguk.edu/)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일우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Tel.2260-3457, E-Mail : choiiw@dongguk.edu

 

 중앙도서관은 범문에듀케이션과 함께 3월 24일(목) 오후 5시 중앙도서관 IF Zone 내 AV실에서 ‘세상에서 제일 좋은 직업 약사’의 저자들을 강사로 초청 3월 명사의 지식강연을 개최합니다.

 

 명사의 지식강연은 중앙도서관이 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의 지식과 교양의 폭을 넓히고 독서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학기중 월 1회 이상 개최해오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문영역에서 활약하는 약사들의 진솔한 이야기

 

 특히 이 달의 책은 본교 약학과 재학생 및 수료생 15명이 함께 저술한 도서로 강연에는 김향숙 전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장, 김형선 지멘스헬스케어(주) Clinic Research, 윤승천 서울시 약사회 은평제일약국, 조정연 본교 대학원생이 강사로 참여합니다.

 

본교 약학과 재학생 및 수료생 15명의 저자 강연, 인세 발전기금 기부


 지난 1월 약학대학에서는 이 책의 인세 215만 원 전액을 학교에 전달하고 향후 발생하는 인세까지 더해 총 1천만 원의 발전기금을 약정 바 있습니다.   매월 개최되는 ‘명사와의 지식강연’에 학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신청방법 : 중앙도서관 북삼매 홈페이지 – 독서행사/활동 – 명사의 지식강연 클릭!
    
http://booklib.dongguk.edu/event/famous/detail/0_662?retUrl=/event/famous/list/0

 

최일우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Tel.2260-3457, E-Mail : choiiw@dongguk.edu

 

중앙도서관의 모토인 ‘정보의 숲’ 만들기 위해 산책로 형상화

 

 

 중앙도서관은 3월 10일(목) 오전 10시 30분 첨단시설, 스마트 교육 인프라로서 창의학습 공간 IF(Information Forest, 이하 IF) Zone을 개소하였습니다

 IF Zone ACE사업의 지원으로 동국대 중앙도서관의 모토인 ‘정보의 숲’을 형상화하여 각 코너를 산책로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ICT 기반의 학습과 휴식 시설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학생들을 위한 힐링과 창의공간으로 조성된 IF Zone은 기존 멀티미디어실을 개조, 다매체 환경에 적합한 교육을 위해 다양한 첨단기기를 설치했습니다. 프레젠테이션과 모의 인터뷰 등을 진행하고 동시에 녹화 및 리뷰가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룸’과 멀티미디어 기반의 다양한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코너’ 등을 신설했으며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AV Room과 노트북 존을 확대하고 기능을 개선하는 등 최첨단 디지털 공간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앞으로 도서관의 새로운 공간, IF Zone에 많은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김웅갑 과장(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Tel.2260-8623, E-Mail : ugkim@dongguk.edu

 

  [사진설명] 조약돌과 숲을 형상화한 ACE라운지 전경

  [사진설명] 아늑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미디어감상코너 전경

  [사진설명] 숲과 어울리는 디자인의 정보검색코너 전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