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 박희동(dong0104@dongguk.edu) 


도서관은 전자자원(electronic resource)의 급속한 증가와 그에 따른 장서구성의 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수서정책이나 관리시스템만으로 효과적인 자원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다. 도서관 자원을 보는 시각도 이제는 “소장(ownership)”에서 “접근(access)”으로 점차 이동하고 있으며, 정보환경의 변화로 도서관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정보와 그 이용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과 방법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자자원의 효율적인 수집, 정리, 보존 및 이용자 서비스를 위해서는 전자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번 KESLI 전자정보포럼은 “전자정보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라는 주제를 다루었다.
여기서는 그 중에서도 1) Deep Indexing을 통한 E-Journal 자료의 이용 극대화와 2) ERM(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시스템을 통한 전자자원관리 효율성 증대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한다.



Deep Indexing을 통한 E-Journal 자료의 이용 극대화 

1. Deep Indexing이란?

Article 내에서 연구와 관련된 주요한 챠트, 표, 지도, 사진 등을 Index 하여 서비스

2. Deep Indexing의 필요성

가. 연구와 관련된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
나. 주장의 근거가 되는 연관 데이터이며 주장의 적합성을 쉽고 빠르게 증명함.
다. 일반적인 검색 기법으로는 이러한 자료들을 검색할 수 없음.

3. Deep Indexing 방법

가. 포함된 객체의 형태 : Graph, Illustration, Map, Photograph
나. Descriptor 추가  

4. Deep Indexing의 효과

가. 타이틀 검색 및 본문 검색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연구의 핵심적인 요소를 검색할 수 있게 함.
나. 시각적인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본인의 연구에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음.
다. 다른 주제 분야의 자료와 연관성을 쉽게 발견할 수 있음.
라. 유사한 주제의 논문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쉽게 비교할 수 있음.

5. 상용 제품에 적용된 분야

Life Science. Earth Science, Meteorology, Medical 

6. 도서관에 Deep Indexing 서비스 접목?

도서관에서는 일반적인 목차 서비스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특정분야의 자료에 대하여 변형된 Deep Indexing 서비스를 한다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으로 생각됨. 


ERM(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시스템을 통한 전자자원 관리 효율성 증대

1. 전자자원관리 시스템의 필요성

가. 전자자료 구입 예산의 증가
나. 웹 자원 이용률 증가
다. 시공간을 초월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

2. In-House 시스템의 문제점

가. 전자자원 관리의 일부 기능만 구현
나. 표준화 부재로 인한 시스템간의 연동 및 데이터 교환 문제
다. 저널의 출판사 이동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

3. ERM 시스템 관련 동향 : 링킹 리졸버, 메타검색시스템, A-Z 리스트 


4. ERM 시스템 도입 효과

가. 표준화된 형태의 이용통계 관리
나. 효율적인 라이선스 관리

5. 우리도서관의 ERM 시스템 현황

가. 자체 DL 시스템이 있으나 출판사별로 저널의 이동이 잦아 관리 어려움
나. 대행사 제공 A to Z 리스트 서비스

6. 상용 제품

가. 링킹 리졸버 : SFX 등
나. 메타검색시스템 : MetaLib 등
다. A-Z 리스트 : Ebsco 등
라. ERM : Verde 등
 

7. 도서관에 ERM 시스템 도입?

향후 도서관 서비스에서 전자정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며 따라서 매년 전자자료 구입 예산도 증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절한 ERM 시스템 도입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됨.

+ Recent posts